배경 스토리
과학자들은 러시아 동부의 영구 동토층에서 (원래 상태로) 보존된 1만 8천살 강아지를 언론에 공개했습니다. 그 강아지는 2018년 여름 야쿠티아 라는 시베리아 동부지역에 사는 한 주민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갯과 동물이라고 믿어집니다. 1년 전 오늘 (A year ago today) 있었던 기사를 이용해 수능문제와 내신문제를 준비했습니다.
[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Scientists unveiled an 18,000-year-old puppy found ⓐpreserved in permafrost in eastern Russia. The puppy, found by a local in the eastern Siberian region of Yakutia in summer 2018, ⓑis believed to be the oldest canine discovered in the area. ( ① ) The animal was remarkably well-preserved, with fur, teeth and whiskers. ( ② ) Radiocarbon dating by Swedish scientists confirmed the puppy ⓒwas frozen for about 18,000 years. ( ③ ) Scientists are about to do a third round of genome sequencing, which ⓓtheir hope might solve the mystery of ⓔwhat the puppy is a wolf or dog, or some prehistoric ancestor. ( ④ ) As the permafrost melts, ⓕaffecting by climate change, more and more parts of woolly mammoths, canines and other prehistoric animals ⓖare being discovered. ( ⑤ ) Often mammoth tusk hunters discover them.
1. 다음 주어진 문장이 위 글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곳은?
In recent years, Russia’s Far East has become a gold mine for scientists studying the remains of ancient animals.
2. 위 글을 요약하고자 한다. 아래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With his fur and teeth totally (A) , an 18,000-year-old puppy discovered in Siberia could be an evolutionary (B) between wolves and modern dogs. |
(A) | (B) | |
---|---|---|
① | reserved | origin |
② | intact | link |
③ | significant | origin |
④ | intact | interval |
⑤ | significant | link |
3. 위 글에 밑줄 친 부분(ⓐ ~ ⓖ) 중 어법상 틀린 곳을 모두 고르시오.
관련 영상
정답 및 해설
[해설]
1. ④
2. ②
With his fur and teeth totally intact, an 18,000-year-old puppy discovered in Siberia could be an evolutionary link between wolves and modern dogs.
해석: 강아지의 털과 이빨이 완전히 온전하기 때문에,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18,000년 된 강아지는 아마도 늑대와 현대 개 사이에 진화적 관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문의 remarkably well-preserved 표현을 intact로 재표현함. with 분사구문이 맨 앞에 나온 경우 부사적 해석을 한다.
3. ⓒ was frozen → had been frozen
Radiocarbon dating by Swedish scientists confirmed the puppy was frozen for about 18,000 years.
스웨덴 과학자들이 확인한 사실(confirmed) 보다 강아지가 18,000년 동안 냉동된 사실이 더 이전이므로 대과거인 had been frozen으로 고쳐야 한다.
ⓓ their → they
which their hope might solve the mystery
their hope이 맞는다면 관계대명사 which는 목적격이다. 목적격 뒤는 주어+동사가 나오며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 구조이다. 하지만 solve 뒤에 목적어 the mystery가 있고 완전구조가 되므로 their hope은 틀렸다. 관계대명사 주격 뒤 삽입절을 묻는 문제이다.
ⓔ what → whether
the mystery of what the puppy is a wolf or dog, or some prehistoric ancestor.
전치사의 목적어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 명사절이다. 이 중에 문제의 경우 what 이하에 절이 나오므로 명사절을 이해하는 지를 묻는 문제이다. 관계대명사 what 뒤는 불완전 문장이다. 문제의 경우 what 뒤가 완전하므로 틀렸다. 의문사가 이끄는 명사절은 완전하다. 뒷부분에 or이 단서이다. or과 짝꿍을 이루는 의문사는 whether이다.
ⓕ affecting → affectedaffecting by climate change
전치사 by앞은 과거분사 p.p. 자리이다. 외워두자.
해석 및 어휘
[해석] 과학자들은 러시아 동부의 영구 동토층에서 (원래 상태로) 보존된 채 발견된 18000살의 한 강아지를 공개했다. 그 강아지는 2018년 여름 야쿠티아 라는 시베리아 동부지역에 사는 한 주민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갯과 동물이라고 믿어진다. 그 동물의 털, 이빨, 수염은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되었다. 스웨덴 과학자들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사용해 그 강아지가 약 18000년 동안 냉동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과학자들은 이제 3차 유전자 배열을 하려고 한다. 유전자 배열은 그들이 희망하기에 그 강아지가 늑대나 개 혹은 선사 시대의 다른 조상인지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지도 모른다. 최근에 러시아의 극동 지역은 고대 동물의 유적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지식의 보고가 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영향 받아 영구 동토층이 녹고 있어서 매머드, 갯과 동물, 기타 선사 시대의 동물들이 묻혀 있는 더 많은 곳들이 발견되고 있다. 종종 매머드 상아 사냥꾼들이 그것들을 발견한다.
[어휘] unveil 덮개를 벗기다, 밝히다, 공개하다 / permafrost 영구 동토층 / canine a. 개의 n. 개, 갯과의 동물 / fur 털, 모피 / whisker 수염 / radiocarbon dating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 / genome sequencing 유전자 배열 / prehistoric 선사 시대의 / Far East 극동 지역 / gold mine 금광, (지식 따위의) 보고 / remains 유적 / woolly mammoth 매머드 / tusk 상아
Further Study
※ 주격 뒤 삽입절
어떤 사실에 대해 자신의 생각 또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빌려 강조를 하고자 할 때 관계대명사 주격 뒤에 (주어+동사) 삽입절을 첨가한다. 관계대명사 뒤에 ‘주어+believe/think/know/feel’ 등의 어구가 삽입되는 경우, “관계대명사 삽입절”이라 부른다. 삽입된 어구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관계대명사의 격을 따져보면 된다. 삽입된 어구는 ‘~하기에’로 해석을 한다.
He is the man whom I think should be elected. (x)
He is the man who (I think) should be elected. (o)
(그는 내가 생각하기에 선출되어야만 하는 사람이다.).)
→ 목적격 whom 뒤에 주어+동사의 어순이 맞는 것 같지만 주어+동사 뒤에 또 다른 동사 should be elected가 있다는 점에 의문을 가져야 한다. 관계대명사 뒤에 삽입절(I think)을 제거하고 문장을 보면 주격 관계대명사 자리임을 알 수 있다.
Review Test
둘 중 어법에 맞는 표현을 고르시오.
With Ms. Sullivan’s love and patience, Helen Keller [who / whom] people all thought would not have lived for long overcame her deafness and blindness and became a good writer.
[해설]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와 격을 따진다. 선행사가 사람이며 ‘목적격+S+V’ 어순이므로 일단 whom이 맞는 것처럼 보인다. 주의할 점은 ‘목적격+S+V’ 어순 뒤에 또 다른 동사가 나올 수 없는 데 ‘would not have lived’가 있으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틀렸다. 반면, 주격 관계대명사 뒤 동사자리에 또 다른 주어+동사(people all thought)는 삽입절이다.
[해석] 설리번 선생님의 사랑과 인내심 덕분에, (당시) 모든 사람들의 생각으로는 오래 살지 못할 것 같았던 헬렌 켈러는 청각 장애와 실명을 극복하고 훌륭한 작가가 되었다.